1. 인터넷 (Internet)
- 설명: 전 세계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연결된 거대한 시스템으로,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합니다. 인터넷은 전화선, 광섬유, 위성 등을 통해 작동하며, 우리가 웹사이트를 보거나 이메일을 보내는 기반입니다.
- 예시: 집에서 Wi-Fi로 유튜브를 보는 것, 친구와 메신저로 대화하는 것.
2. 클라우드 (Cloud)
- 설명: 데이터를 내 컴퓨터나 하드 드라이브가 아닌 인터넷上の 서버에 저장하고,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. 저장 공간을 빌리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- 예시: Google Drive에 사진을 올려놓고 스마트폰으로 보는 것, Netflix에서 영화를 스트리밍하는 것.
3. 알고리즘 (Algorithm)
- 설명: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거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일련의 단계 또는 규칙입니다. 요리 레시피처럼 "이렇게 하면 결과가 나온다"는 설계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.
- 예시: 구글이 검색어를 입력하면 관련 웹사이트를 빠르게 찾아주는 방식, 유튜브가 추천 영상을 제안하는 로직.
4. 소프트웨어 (Software)
- 설명: 컴퓨터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입니다. 소프트웨어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,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핵심입니다.
- 예시: Microsoft Word(문서 작성), Zoom(화상 회의), 게임 앱(엔터테인먼트).
5. 하드웨어 (Hardware)
- 설명: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 부품으로,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모든 것입니다. 소프트웨어가 "뇌"라면 하드웨어는 "몸"에 해당합니다.
- 예시: 모니터(화면), 키보드(입력), 하드 디스크(저장 장치).
6. 운영체제 (Operating System, OS)
- 설명: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해 주는 중재자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. 컴퓨터가 부팅되고, 파일을 열고,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관리합니다.
- 예시: Windows 10(데스크톱), Android(스마트폰), iOS(아이폰).
7. 데이터 (Data)
- 설명: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숫자, 문자, 이미지 등의 정보입니다. 데이터는 "원재료"로, 이를 가공하면 유용한 결과가 나옵니다.
- 예시: 엑셀에 입력한 판매 기록, 스마트폰에 저장된 연락처.
8. 네트워크 (Network)
- 설명: 여러 컴퓨터나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. 유선(케이블)이나 무선(Wi-Fi)으로 연결됩니다.
- 예시: 집에서 Wi-Fi로 여러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, 회사에서 내부망으로 자료 공유.
9. 서버 (Server)
- 설명: 다른 컴퓨터(클라이언트)의 요청을 받아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작업을 처리하는 강력한 컴퓨터입니다. 24시간 작동하며 많은 사용자를 지원합니다.
- 예시: 네이버 웹사이트를 여는 데 필요한 서버, 게임에서 온라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서버.
10. 클라이언트 (Client)
- 설명: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사용자의 장치나 프로그램입니다.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"요청-응답" 관계로 작동합니다.
- 예시: 당신의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 앱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행위.
11. IP 주소 (IP Address)
- 설명: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를 식별하는 고유한 숫자 주소입니다. 집 주소처럼 기기의 "위치"를 나타냅니다.
- 예시: "192.168.0.1"처럼 생긴 숫자, 인터넷 연결 문제 해결 시 라우터에서 확인 가능.
12. URL (Uniform Resource Locator)
- 설명: 웹사이트나 온라인 자원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입니다. 보통 "http://" 또는 "https://"로 시작합니다.
- 예시: "https://www.naver.com"은 네이버 홈페이지의 URL.
13. 브라우저 (Browser)
- 설명: 인터넷上的 웹사이트를 탐색하고 표시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. 사용자가 URL을 입력하면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보여줍니다.
- 예시: Chrome(구글), Edge(마이크로소프트), Safari(애플).
14. 암호화 (Encryption)
- 설명: 데이터를 외부인이 읽지 못하도록 특수 코드로 변환하는 보안 기술입니다. 열쇠(키)가 있어야만 풀 수 있습니다.
- 예시: 카카오톡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해커가 내용을 못 보게 되는 경우.
15. 해커 (Hacker)
- 설명: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깊은 지식을 활용해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조작하는 사람입니다. 선한 목적(보안 개선) 또는 악한 목적(정보 도용)으로 나뉩니다.
- 예시: 영화에서 시스템을 뚫는 장면, 보안 전문가가 취약점을 찾아주는 경우.
16. 바이러스 (Virus)
- 설명: 컴퓨터에 침투해 데이터를 손상시키거나 삭제하거나 시스템을 느리게 만드는 악성 소프트웨어입니다. 주로 이메일이나 다운로드를 통해 전파됩니다.
- 예시: 의심스러운 파일을 열었더니 컴퓨터가 느려진 경우.
17. 방화벽 (Firewall)
- 설명: 네트워크에 들어오고 나가는 데이터를 감시하고, 위험한 접근을 차단하는 보안 시스템입니다. 집 문에 경비원을 두는 것과 비슷합니다.
- 예시: Windows 방화벽이 기본으로 켜져 있어 외부 공격을 막음.
18. API 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
- 설명: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연결 통로입니다. "중개자" 역할을 합니다.
- 예시: 날씨 앱이 기상청 데이터를 가져와 보여주는 것.
19. 백업 (Backup)
- 설명: 데이터가 손실될 경우를 대비해 중요한 파일을 복사해 두는 작업입니다. 정기적으로 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.
- 예시: 스마트폰 사진을 외장 하드에 저장, 클라우드에 문서 업로드.
20. 인공지능 (Artificial Intelligence, AI)
- 설명: 인간처럼 학습하고 판단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. 데이터를 분석해 패턴을 찾아냅니다.
- 예시: 나(Grok)처럼 질문에 답하는 챗봇, 넷플릭스가 취향에 맞는 영화를 추천.
21. 프로그래밍 (Programming)
- 설명: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(코드)로 명령을 작성하는 작업입니다.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기본 과정입니다.
- 예시: 앱을 만들기 위해 Python이나 Java로 코드를 작성.
22. 데이터베이스 (Database)
- 설명: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. 필요할 때 쉽게 검색하고 꺼낼 수 있습니다.
- 예시: 은행의 고객 정보 저장소,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목록.
23. 스토리지 (Storage)
- 설명: 데이터를 저장하는 물리적 또는 가상 공간입니다. 용량은 GB, TB 단위로 측정됩니다.
- 예시: USB 드라이브, 컴퓨터의 SSD, 클라우드 스토리지.
24. 다운로드 (Download)
- 설명: 인터넷이나 서버에서 데이터를 내 장치로 가져오는 행위입니다.
- 예시: 앱스토어에서 게임을 설치, 유튜브 영상을 저장.
25. 업로드 (Upload)
- 설명: 내 장치에서 인터넷이나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는 행위입니다.
- 예시: 유튜브에 동영상 올리기, 클라우드에 사진 저장.
26. 버그 (Bug)
- 설명: 소프트웨어에서 예상치 못한 오류나 문제를 일으키는 결함입니다.
- 예시: 앱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, 게임에서 캐릭터가 이상하게 움직임.
27. 패치 (Patch)
- 설명: 소프트웨어의 버그를 수정하거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배포되는 업데이트입니다.
- 예시: Windows 업데이트, 앱의 최신 버전 설치.
28. 피싱 (Phishing)
- 설명: 가짜 이메일이나 메시지로 사용자를 속여 개인정보(비밀번호, 카드 번호 등)를 훔치는 사기 수법입니다.
- 예시: "당신의 계정이 위험합니다"라며 링크를 누르게 유도하는 이메일.
29. 스트리밍 (Streaming)
- 설명: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서 동시에 재생하는 기술입니다. 기다릴 필요 없이 바로 볼 수 있습니다.
- 예시: 유튜브 실시간 방송, 넷플릭스 영화 감상.
30. 가상현실 (Virtual Reality, VR)
- 설명: 컴퓨터로 만든 가상 세계를 실제처럼 체험하게 해주는 기술입니다. 특수 헤드셋을 사용합니다.
- 예시: VR 게임으로 가상 공간에서 전투, 가상 박물관 투어.
31. 프로토콜 (Protocol)
- 설명: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지켜야 하는 규칙이나 약속입니다. 사람 간 대화에서 "언어"를 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.
- 예시: "HTTP"는 웹사이트를 여는 규칙, "FTP"는 파일 전송 규칙.
32. 랜섬웨어 (Ransomware)
- 설명: 컴퓨터 파일을 암호화해 잠가버리고 돈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입니다. "데이터 인질극"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- 예시: "파일을 풀려면 100만 원을 보내라"는 메시지.
33. 대역폭 (Bandwidth)
- 설명: 네트워크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뜻합니다. 도로 폭이 넓을수록 차가 더 많이 다닐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.
- 예시: 집 인터넷 속도가 느리면 대역폭이 부족한 경우.
34. 쿠키 (Cookie)
- 설명: 웹사이트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으로, 방문 기록이나 설정을 기억합니다.
- 예시: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은 물건이 다음에 접속해도 남아있는 경우.
35. 캐시 (Cache)
- 설명: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꺼내기 위해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입니다. "메모장"처럼 빠른 접근을 도와줍니다.
- 예시: 웹사이트가 로딩 없이 빨리 열리는 경우.
36. 드라이버 (Driver)
- 설명: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연결해 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.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필수적입니다.
- 예시: 프린터를 설치할 때 드라이버를 다운받아야 출력 가능.
37. 포맷 (Format)
- 설명: 저장 장치를 초기화하거나 특정 형식으로 정리하는 작업입니다. 데이터를 지우고 새로 시작할 때 사용됩니다.
- 예시: USB를 포맷해 모든 파일 삭제.
38. 해상도 (Resolution)
- 설명: 화면이나 이미지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값으로, 픽셀 수로 측정됩니다. 숫자가 클수록 더 선명합니다.
- 예시: "1920x1080"은 Full HD 해상도.
39. 프록시 (Proxy)
- 설명: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는 서버입니다. IP를 숨기거나 접근을 우회할 때 사용됩니다.
- 예시: VPN으로 해외 사이트 접속.
40. 블록체인 (Blockchain)
- 설명: 데이터를 분산된 네트워크에 기록해 위조가 어렵게 만드는 기술입니다. "공공 장부"처럼 투명합니다.
- 예시: 비트코인 거래 기록.
41. 메타데이터 (Metadata)
- 설명: 데이터에 대한 설명 정보로, "데이터의 데이터"라고 부릅니다. 내용은 아니지만 속성을 알려줍니다.
- 예시: 사진 파일에 찍힌 날짜, 장소 정보.
42. 인터페이스 (Interface)
- 설명: 사용자와 기기, 또는 기기 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접점입니다. "대화 창구"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- 예시: 스마트폰 화면의 버튼, USB 포트.
43. 오픈소스 (Open Source)
- 설명: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를 누구나 보고 수정할 수 있게 공개한 것입니다. 협업과 공유를 장려합니다.
- 예시: 리눅스 OS, Firefox 브라우저.
44. 멀티태스킹 (Multitasking)
- 설명: 컴퓨터가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하는 능력입니다. 인간이 한 번에 여러 일을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.
- 예시: 음악을 들으며 웹서핑 하기.
45. 파티션 (Partition)
- 설명: 하드 드라이브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는 작업입니다. 저장 공간을 정리하거나 용도별로 분리할 때 사용합니다.
- 예시: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로 나눔.
46. 스팸 (Spam)
- 설명: 원치 않는 이메일이나 메시지로, 주로 광고나 사기를 목적으로 보내집니다.
- 예시: "100만 원 당첨"이라는 이메일.
47. 트래픽 (Traffic)
- 설명: 네트워크를 오가는 데이터의 양을 뜻합니다. 도로의 차량 흐름과 비슷합니다.
- 예시: 웹사이트 방문자가 많아 접속이 느려짐.
48. 인증 (Authentication)
- 설명: 사용자가 본인임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. 보안을 위해 필수적입니다.
- 예시: 비밀번호 입력, 지문 인식.
49. 호스팅 (Hosting)
- 설명: 웹사이트나 데이터를 인터넷에 올려놓기 위해 서버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.
- 예시: 개인 블로그를 위한 웹호스팅 서비스.
50. 디지털 서명 (Digital Signature)
- 설명: 전자 문서의 진위를 보장하는 암호화된 표식입니다. 종이 문서의 서명과 같은 역할입니다.
- 예시: PDF 계약서에 붙은 전자 서명.
51. 디버깅 (Debugging)
- 설명: 소프트웨어의 버그를 찾아 수정하는 과정입니다. 문제를 진단하고 고치는 "수리" 작업입니다.
- 예시: 앱이 꺼질 때 개발자가 코드를 점검.
52. 도메인 (Domain)
- 설명: 웹사이트의 고유한 이름으로, IP 주소를 사람이 읽기 쉽게 만든 것입니다.
- 예시: "google.com"은 구글의 도메인.
53. 라우터 (Router)
- 설명: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로, 집에서 Wi-Fi를 나눠주는 역할을 합니다.
- 예시: 집에서 여러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.
54. 스크립트 (Script)
- 설명: 간단한 프로그래밍 명령어 집합으로, 특정 작업을 자동화합니다.
- 예시: 웹사이트에서 버튼 클릭 시 팝업창 띄우기.
55. 머신러닝 (Machine Learning)
- 설명: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, 데이터를 학습해 스스로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입니다.
- 예시: 스팸 이메일을 자동으로 걸러냄.
56. 방화벽 (Firewall) - 네트워크 장비
- 설명: 소프트웨어 외에도 하드웨어 장비로 존재하며,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합니다.
- 예시: 회사 네트워크를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.
57. 리소스 (Resource)
- 설명: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(CPU, 메모리 등)입니다.
- 예시: 게임 실행 시 높은 리소스 필요.
58. 가상화 (Virtualization)
- 설명: 하나의 물리적 컴퓨터에서 여러 가상 컴퓨터를 만드는 기술입니다.
- 예시: 한 PC에서 Windows와 리눅스 동시에 사용.
59. 트로이목마 (Trojan Horse)
- 설명: 무해한 파일처럼 보이지만 실행 시 시스템을 해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.
- 예시: 무료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로 침투.
60. GUI (Graphical User Interface)
- 설명: 사용자가 그래픽(아이콘, 버튼 등)으로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입니다.
- 예시: 스마트폰 화면의 앱 아이콘.
61. CLI (Command Line Interface)
- 설명: 텍스트 명령어로 컴퓨터를 조작하는 방식입니다. GUI보다 직관적이지 않지만 강력합니다.
- 예시: "cmd"로 Windows 명령 입력.
62. DDoS 공격 (Distributed Denial of Service)
- 설명: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웹사이트를 공격해 마비시키는 행위입니다.
- 예시: 쇼핑몰 사이트가 접속 불가 상태.
63. 플러그인 (Plugin)
- 설명: 소프트웨어에 기능을 추가하는 작은 프로그램입니다.
- 예시: 브라우저에 광고 차단 플러그인 설치.
64. 바이오메트릭스 (Biometrics)
- 설명: 지문, 얼굴 등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기술입니다.
- 예시: 스마트폰 잠금 해제 시 얼굴 인식.
65. 쿼리 (Query)
- 설명: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입니다.
- 예시: "2023년 매출" 검색.
66. SaaS (Software as a Service)
- 설명: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구독해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.
- 예시: 구글 문서 도구, Zoom.
67. PaaS (Platform as a Service)
- 설명: 개발자가 앱을 만들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.
- 예시: Google App Engine.
68.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
- 설명: 서버, 스토리지 등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빌려주는 서비스입니다.
- 예시: Amazon Web Services(AWS).
69. 프레임워크 (Framework)
- 설명: 프로그래밍을 쉽게 하기 위한 기본 구조나 도구 모음입니다.
- 예시: 웹 개발용 Django, React.
70. 해시 (Hash)
- 설명: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, 보안에 사용됩니다.
- 예시: 비밀번호를 해시로 저장.
71. IoT (Internet of Things)
- 설명: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입니다.
- 예시: 스마트 냉장고, 스마트 조명.
72. DNS (Domain Name System)
- 설명: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.
- 예시: "naver.com"을 "203.104.160.13"으로 연결.
73. 포트 (Port)
- 설명: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특정 "문" 번호입니다.
- 예시: 웹은 포트 80, 이메일은 포트 25.
74. 워크스테이션 (Workstation)
- 설명: 고성능 작업(그래픽, 설계 등)을 위한 강력한 컴퓨터입니다.
- 예시: 3D 애니메이션 제작용 PC.
75. 멀웨어 (Malware)
- 설명: 바이러스, 트로이목마 등 모든 악성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.
- 예시: 시스템을 망치는 악성 앱.
76. 컴파일러 (Compiler)
- 설명: 사람이 쓴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꿔줍니다.
- 예시: C언어 코드를 실행 파일로 변환.
77. 버전 관리 (Version Control)
- 설명: 소프트웨어 코드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.
- 예시: Git으로 팀 코드 공유.
78. SDK (Software Development Kit)
- 설명: 앱 개발에 필요한 도구 모음입니다.
- 예시: 안드로이드 앱용 Android SDK.
79. 렌더링 (Rendering)
- 설명: 데이터를 시각적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.
- 예시: 3D 게임 그래픽 생성.
80. 피어투피어 (Peer-to-Peer, P2P)
- 설명: 서버 없이 사용자 간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입니다.
- 예시: 토렌트 파일 공유.
81. 애드웨어 (Adware)
- 설명: 원치 않는 광고를 띄우는 소프트웨어로, 때론 악성입니다.
- 예시: 무료 앱에서 광고 팝업.
82. 인증서 (Certificate)
- 설명: 웹사이트나 사용자의 신원을 보장하는 디지털 문서입니다.
- 예시: "https" 사이트의 SSL 인증서.
83. 레지스트리 (Registry)
- 설명: Windows에서 설정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.
- 예시: 프로그램 설치 정보 저장.
84. 스파이웨어 (Spyware)
- 설명: 사용자 몰래 정보를 수집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입니다.
- 예시: 키보드 입력 기록 도용.
85. 펌웨어 (Firmware)
- 설명: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, 기기에 내장됩니다.
- 예시: 라우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.
86. 디스크 조각 모음 (Defragmentation)
- 설명: 하드 디스크의 흩어진 데이터를 정리해 속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.
- 예시: 느려진 PC 속도 개선.
87. 애플릿 (Applet)
- 설명: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입니다.
- 예시: 웹사이트의 간단한 게임.
88. 테더링 (Tethering)
- 설명: 스마트폰 인터넷을 다른 기기에 공유하는 기능입니다.
- 예시: 노트북에 핫스팟 연결.
89. 토큰 (Token)
- 설명: 인증이나 거래를 위해 발급되는 임시 디지털 키입니다.
- 예시: 2단계 인증 코드.
90. 로그 (Log)
- 설명: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활동 기록입니다.
- 예시: 오류 발생 시 확인하는 로그 파일.
91. 패킷 (Packet)
- 설명: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조각입니다.
- 예시: 웹페이지 로딩 시 데이터 패킷 수신.
92. 드롭박스 (Dropbox) - 일반화된 개념
- 설명: 파일을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공유하는 서비스를 뜻합니다.
- 예시: 팀 문서 공유.
93. 오버클러킹 (Overclocking)
- 설명: CPU나 GPU를 기본 속도 이상으로 강제로 빠르게 만드는 것입니다.
- 예시: 게임 성능 향상.
94. 에뮬레이터 (Emulator)
- 설명: 다른 기기의 환경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.
- 예시: PC에서 닌텐도 게임 실행.
95. 핫스팟 (Hotspot)
- 설명: 무선 인터넷 접속 지점입니다.
- 예시: 카페 Wi-Fi, 스마트폰 핫스팟.
96. 디렉토리 (Directory)
- 설명: 파일과 폴더를 정리하는 구조입니다.
- 예시: "내 문서" 폴더.
97. 압축 (Compression)
- 설명: 파일 크기를 줄이는 기술입니다.
- 예시: ZIP 파일로 압축.
98. 부팅 (Booting)
- 설명: 컴퓨터를 켜고 운영체제를 시작하는 과정입니다.
- 예시: PC 전원 버튼 누름.
99. 벤치마크 (Benchmark)
- 설명: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는 테스트입니다.
- 예시: 게임 프레임 속도 확인.
100. 멀티미디어 (Multimedia)
- 설명: 텍스트, 이미지, 소리,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결합한 것입니다.
- 예시: 유튜브 영상(소리+화면).